10년동안의 국내 물가상승률 분석

요즘 너무 오른 물가 때문에 고민이 많으시죠? 오늘은 10년 동안의 국내 물가상승률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합니다. 물가란 무엇이고, 어떻게 측정되는지, 그리고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물가란 무엇인가?

물가란 물건의 가격을 줄인 말입니다. 즉,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소비하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수준을 의미합니다. 물가는 화폐의 가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므로, 동일한 양의 화폐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의 양이 줄어듭니다. 이를 화폐의 구매력 감소라고 합니다. 반대로 물가가 하락하면 화폐의 가치는 상승하므로, 동일한 양의 화폐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의 양이 늘어납니다. 이를 화폐의 구매력 증가라고 합니다.
물가의 변동은 소비자물가지수라는 지표로 측정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란 일정한 기준연도의 가격을 100으로 두고, 다른 연도의 가격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20년을 기준연도로 하고, 2024년 1월의 소비자물가지수가 113.15라면, 이는 2020년의 가격에 비해 2024년 1월의 가격이 13.15%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이 매월 발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10년 동안의 국내 물가상승률은 어떻게 변했나?

2015년부터 2020년까지는 물가상승률이 1~2%대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세계적인 저유가, 저성장, 저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2021년부터는 코로나19의 장기화, 국제유가와 식량가격의 급등, 공공요금의 인상 등으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4%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특히 2021년 4월에는 4.8%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다양한 물가 지수를 확인할 땐 아래의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통계청 방문하기

우리 생활에 필수적인 품목들의 물가상승률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자료를 바탕으로 표로 나타내보았습니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식용유, 마요네즈, 밀가루, 참기름, 케첩 등 콩과 밀을 주 원재료로 하는 제품들의 가격이 가장 많이 상승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문제,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국제 곡물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제 곡물 가격이 하락 추세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가격 인하 정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달걀의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63.2%나 상승했습니다. 이는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으로 인한 공급 부족이 주요 원인입니다.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실질 소득 감소: 물가상승률이 소득 증가율보다 높으면, 동일한 양의 화폐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의 양이 줄어듭니다. 이는 소비자의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경제 활동을 저하시킵니다.
  • 저축의 가치 하락: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저축의 가치도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1년 후에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채권을 100만 원에 구입했다고 가정해 볼 때 만약 물가상승률이 10%라면, 1년 후에 100만 원은 90만 원의 가치밖에 되지 않습니다. 즉, 저축의 실질 수익률은 음 (-)이 됩니다. 이는 저축을 감소시키고, 투자를 억제합니다.
  • 사회적 불안감 증가: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소비자의 물가 기대도 높아집니다. 즉, 미래의 물가가 더욱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이는 소비자의 소비와 저축 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물가상승률을 더욱 가속화시킵니다. 또한,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소득 분배가 불균형해지고, 빈부격차가 심화됩니다. 이는 사회적 불만과 갈등을 야기하고, 사회 안정을 해치게 됩니다.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부와 중앙은행은 적절한 물가안정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실질 소득 감소, 저축의 가치 하락, 사회적 불안감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면 화폐의 구매력 증가, 저축의 가치 상승, 사회적 안정감 증가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물가상승률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중앙은행이 적절한 물가안정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또한 소비자들도 물가상황을 잘 파악하고, 합리적인 소비와 저축 행태를 보여야겠습니다.